# 한국 떠났다고 끝난 거 아님!
## 해외 시민권자도 국내 자산 팔 때 이건 꼭 알아둬야 해요 ⚠️
음... 솔직히 저도 이거 알기 전까지 꽤 헤맸거든요 ㅠㅠ
부동산이건, 예금이건 간에 한국에 뭔가 남겨둔 분들, "나 외국 시민권자인데 팔아도 되나?" 싶을 때 진짜 골치 아파지더라구요.
괜히 잘못 건드렸다가 세금 폭탄 맞는 건 아닐까? 혹시라도 불법 되는 거 아냐? 이런 생각 들기 마련이죠.
막상 물어보면 세무사도 말이 다르고, 인터넷 정보는 넘나 어려운 법조문 투성이구요;;
그래서 오늘은 제가 이 과정 다 정리해서! 완전 쉬운 버전으로 풀어드리려구요 🥳
외국 영주권, 시민권 갖고 있는 분들이 한국 내 부동산이나 금융 자산 같은 거 어떻게 합법적으로 처분하는지,
필요한 서류, 세금 문제, 절차 순서까지!
진짜 하나하나, 제 친구한테 설명하듯 풀어드릴게요 ㅎㅎ
---
## 어떤 내용이 나올지 살짝 예고해보자면... 👀
- 우선, 내가 ‘비거주자’인지 ‘거주자’인지 구분하는 게 제일 중요해요.
- 그다음은, 각 자산별로 처분 가능한 조건과 세무 신고 방법이 다르다는 거!
- 특히 부동산 같은 경우엔 매매 신고, 양도소득세, 외환신고까지 딱딱 맞춰야 하거든요.
- 그리고 요즘 외국환거래법 때문에 은행 쪽도 엄청 빡세게 보고 있어서 주의하셔야 해요.
- 물론! 이 모든 걸 좀 편하게 해주는 위임장이나 대리인 제도도 있어요 🙌
이제 진짜 궁금하셨던 이야기, 본격적으로 풀어볼게요!
### 1. 먼저, 나 ‘거주자’인지 ‘비거주자’인지 확인부터!
이게 진짜 핵심이에요!
국세청 기준으로 ‘1년 중 183일 이상 국내에 거주하지 않으면’ 비거주자로 분류돼요.
근데 단순히 한국에 오래 안 살았다고 비거주자가 되는 건 아니라는 거…ㅠ
주된 생활 근거지, 가족이 어디 사는지, 수입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등등 여러 요소 따져서 판단하거든요.
해외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라도, 한국에서 일정한 생활 기반이 있으면 ‘거주자’로 간주될 수도 있음!!
---
### 2. 부동산 처분? 당연히 가능해요! 근데 세금 잘 챙겨야 함💣
해외에 살아도, 한국 부동산은 팔 수 있어요.
근데 중요한 건 양도소득세 신고를 정확히 해야 한다는 점…😥
비거주자는 부동산 매도 시, 양도소득세를 원천징수 방식으로 내야 해요.
매도 대금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떼고 나머지를 받는 거쥬.
또, 세금 신고 안 하면 추후에 가산세 폭탄 맞을 수 있으니 요건 진짜 조심하셔야 해요!!
---
### 3. 금융 자산도 처분 가능! 근데 외환신고 빼먹지 마세요~💰
은행 예금, 주식, 펀드 등도 팔 수 있긴 해요.
근데 요즘 외국환거래법이 강화되면서, 해외로 송금하거나 큰돈 움직이면 바로 신고 들어가거든요.
특히 1만 달러(USD) 이상 외화로 출금하면, 은행에서 출처랑 용도 물어보는 경우 많음;;
이럴 땐 ‘비거주자 금융거래’임을 증명해야 하는데, 해당 서류 미비하면 계좌 자체가 막히는 경우도 있어요 😱
---
### 4. 위임장 써서 대리인 통해 거래도 가능해요 ✍️
직접 한국에 안 와도, 위임장을 통해서 가족이나 친구가 대신 부동산 매매, 은행 업무 처리할 수 있어요.
이때 공증받은 위임장, 인감증명서, 여권사본 등 서류 챙겨야 하는데요!
가끔 대사관에서 공증해주는 경우도 있어서 미리 전화해서 확인해보는 게 좋음~
근데 위임 내용은 진짜 구체적으로 적어야 해요!
"부동산 매매와 관련된 모든 행위" 이렇게 명시 안 하면, 서류 다시 보내야 되는 불상사…ㅠㅠ
---
### 5. 외국환신고는 은근 복잡하지만 요령 있음ㅎㅎ
한국에서 외국으로 큰 금액을 보내려면 반드시 외국환신고 해야 해요.
특히 5만 달러 이상이면 중앙은행 보고까지 들어가기 때문에, 거래 시점 맞춰서 미리 준비해두는 게 좋아요.
국내에서 발생한 자산을 해외로 송금할 땐, "소득 증빙"이 필수인데, 부동산 매도계약서나 세금 납부영수증이 필요하쥬.
은행마다 요구하는 서류도 조금씩 달라서, 거래 은행 미리 정해서 상담받는 거 추천함다~ 🙌
---
### 6. 자산 처분 후엔 꼭 ‘해외 송금 증빙’ 남겨두세요!
진짜 이거 빼먹는 분 많아요;;
해외 송금 시 은행에서 발행한 ‘외화송금명세서’ 꼭 받아두셔야 해요.
나중에 세무조사 들어왔을 때 이게 빠지면 입증 못 해서 골치 아플 수 있거든요;;
특히 한국에 소득 신고 안 된 자산을 해외로 보내면 자금세탁 혐의로 걸릴 수 있음 ㅠ
그러니까 송금하고 나면 무조건 거래내역 캡쳐든 뭐든 다 남겨두시길... 부탁드려요 진심 😭
---
### 이럴 땐 어떡하죠? 🤔
- 해외에서 살고 있는데, 아직 한국 주민등록 유지하고 있으면?
👉 이럴 경우, ‘거주자’로 분류될 수 있어서 절차가 다르게 적용돼요! 주민등록 말소 여부에 따라 다르니 꼭 체크하시구요~
- 미국 시민권자인데 한국에 상속받은 아파트 있어요. 바로 팔 수 있나요?
👉 가능합니다! 단, 상속 관련 서류 정리 + 등기 이전 후 매도 가능해요. 세무처리 꼭 챙기셔야 하구요!
- 국내 주식 정리하고 싶어요. 그냥 팔면 되나요?
👉 국내 증권사를 통한 거래는 비거주자 등록 후 가능해요. 이거 안 하면 계좌 이용 제한 올 수 있어요ㅠ
---
자산 정리... 쉽지 않쥬 ㅋㅋ
저도 처음엔 진짜 ‘왜 이렇게 복잡하게 만들어놨냐고!’ 투덜거렸었거든요;;
근데 하나하나 알아보면서 하다 보니 생각보다 시스템이 잘 돼있긴 하더라구요!
물론 여전히 복잡하긴 한데, 요령만 알면 속 편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 ㅎㅎ
지금 한국에 자산 남아있는 분들!
괜히 찜찜하게 놔두지 마시고요~
한 번에 쫙 정리해서 마음도 깔끔하게 하시면 좋겠쥬!?
---
여러분도 혹시 비슷한 상황 있으셨나요?
혹은 지금 이런 문제 겪고 계신 분들 계신가요?
어디서 막히셨는지, 어떤 정보가 더 궁금하신지 댓글로 공유해주시면, 같이 고민해보아요ㅎㅎ
---